산술연산자
- 수학 계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
※ 증감 연산자 ++, --
변수 앞에 증감연산자가 붙을 경우(++a, --b) : 증감이 먼저 이루어 지고 그 뒤에 계산이 이루어 진다.
변수 뒤에 증감연산자가 붙을 경우(a++, b--) : 계산이 먼저 이루어 지고 그 뒤에 증감이 이루어 진다.
할당연산자(대입 연산자)
- 연산자 오른쪽의 실행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자
연결연산자
- 둘 이상의 문자열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연산자
- '+' 기호 사용
비교연산자
- 피연산자 2개의 값을 비교해서 true, false 로 결괏값 반환
- 문자열은 아스키코드(ASCII) 값을 기준으로 비교한다.
※ 자바스크립트에서 값을 비교할 대 ==, != 보단 ===, !==를 더 많이 사용한다.
- 자바스크립트의 ===는 다른 언어의 ==와 같다. (다른 언어에는 ===가 존재하지 않는다.)
- ==는 피연산자의 자료형을 자동으로 변환시킨 비교하여 원하는 결괏값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.
- ===는 피연산자의 자료형을 변환하지 않으므로 == 보다 정확한 결괏값을 가져오기 때문에 ==보다 ===를 더 많이 사용한다.
논리 연산자
- true, false가 피연산자인 연산자
- 둘 이상의 조건을 처리할 때 사용
'JS >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바스크립트] 변수 선언 (0) | 2022.12.15 |
---|---|
[자바스크립트] 변수 (0) | 2022.12.15 |
[자바스크립트] 반복문 (0) | 2022.12.01 |
[자바스크립트] 조건문 (0) | 2022.12.01 |
[자바스크립트] 자료형 (0) | 2022.1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