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바스크립트4 [자바스크립트] 변수 변수 변수 : 값이 여러 번 달라질 수 있는 데이터 상수 : 값을 한 번 저장하면 바뀌지 않는 데이터 변수 선언 - var 뒤에 변수이름 작성 - var를 한번만 쓰고 여러 개의 변수를 한 번에 선언할 수도 있다. - '='기호를 이용하여 값을 저장할 수 있다. 변수 선언 규칙 - 영어 문자, 언더스코어(_), 숫자를 사용하여 변수명을 지정한다. - 첫 글자는 영문자, _기호, $기호 사용를 사용할 수 있다. - 띄어쓰기, 기호는 허용되지 않는다. now, _now, now25 (사용할 수 있음) 25now, now 25, *now (사용할 수 없음) - 영어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예약어는 변수이름으로 사용할수 없다. - 여러 단어를 연결할 때는 하이픈(-)이나 언더스코어(_)를 사용할 수 있고, 중간에 .. 2022. 12. 15. [자바스크립트] 조건문 if문과 if ~ else문 - 피연산자 2개의 값을 비교해서 true, false로 결괏값 반환 - 하나의 if ~ else 문 안에 다른 if ~ else 문을 넣을 수 있다. ( 중첩 if 문) // 중첩 if문을 활용한 3의 배수 확인 var userNumber = parseInt(prompt("정수를 입력하시오.")); if(userNumber !== null){ //입력값이 null이 아니면 if ~ else 문을 실행 // if ~ else 문 안에 중첩된 if ~ else문 if(userNumber % 3 === 0) alert("3의 배수입니다."); // 입력값이 3의 배수이면 알림창을 보여줌 else alert("3의 배수가 아닙니다."); // 입력값이 3의 배수가 아니면 알림창을 .. 2022. 12. 1. [자바스크립트] 연산자 산술연산자 - 수학 계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※ 증감 연산자 ++, -- 변수 앞에 증감연산자가 붙을 경우(++a, --b) : 증감이 먼저 이루어 지고 그 뒤에 계산이 이루어 진다. 변수 뒤에 증감연산자가 붙을 경우(a++, b--) : 계산이 먼저 이루어 지고 그 뒤에 증감이 이루어 진다. 할당연산자(대입 연산자) - 연산자 오른쪽의 실행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자 연결연산자 - 둘 이상의 문자열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연산자 - '+' 기호 사용 비교연산자 - 피연산자 2개의 값을 비교해서 true, false 로 결괏값 반환 - 문자열은 아스키코드(ASCII) 값을 기준으로 비교한다. ※ 자바스크립트에서 값을 비교할 대 ==, != 보단 ===, !==를 더 많이 사용한다... 2022. 12. 1. [자바스크립트] 자료형 자료형 :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 숫자형(number) - 정수 : 소수점 없는 숫자 - 실수 : 소수점 있는 숫자 ※ 자바스크립튼는 실수를 정밀하게 계산하지 못함 문자열(string) - 작은 따옴표(' '), 큰따옴표(" ")로 묶은 데이터 ※ 문자열 = 문자+문자 (문자와 문자열을 구분하는 다른 언어들과 달리 자바스크립트에선 문자와 문자열을 같은 string형으로 인식한다) 논리형(boolean) - 참(true), 거짓(false)의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 - 조건을 확인해서 조건이 맞으면 true, 맞지 않으면 false 출력 undefined 유형 - 자료형이 정의되지 않았을 때의 데이터 상태 - 변수 선언만 하고 값이 할당되지 않은 자료형 null유형 - 데이터 값이 유효하지 않.. 2022. 12. 1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