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S/정리13 [자바스크립트] 반복문 for 문 -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복문 - 값이 일정하게 커지면서 명령을 반복하여 실행할 때 사용한다. - 초깃값 → 조건 → 명령 → 증가식 순서로 진행 // if 문 var i; var sum = 0; for(i = 1; i < 6; i++) { sum += i;// 1 부터 5까지 합 } 중첩된 for 문 - for 문 안에 다른 for 문을 넣어 사용 - 안쪽 for 문을 모두 실행 한 후 바깥쪽 for문을 실행한다. while 문 - 조건을 체크하고 true라면 { }안의 명령 실행 - false라면 { }안의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. do ~ while 문 - 조건과 상관없이 명령을 한 번 실행한 후 조건을 체크한다. - 조건이 false라도 명령은 최소 1번 실행이 된다. .. 2022. 12. 1. [자바스크립트] 조건문 if문과 if ~ else문 - 피연산자 2개의 값을 비교해서 true, false로 결괏값 반환 - 하나의 if ~ else 문 안에 다른 if ~ else 문을 넣을 수 있다. ( 중첩 if 문) // 중첩 if문을 활용한 3의 배수 확인 var userNumber = parseInt(prompt("정수를 입력하시오.")); if(userNumber !== null){ //입력값이 null이 아니면 if ~ else 문을 실행 // if ~ else 문 안에 중첩된 if ~ else문 if(userNumber % 3 === 0) alert("3의 배수입니다."); // 입력값이 3의 배수이면 알림창을 보여줌 else alert("3의 배수가 아닙니다."); // 입력값이 3의 배수가 아니면 알림창을 .. 2022. 12. 1. [자바스크립트] 연산자 산술연산자 - 수학 계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※ 증감 연산자 ++, -- 변수 앞에 증감연산자가 붙을 경우(++a, --b) : 증감이 먼저 이루어 지고 그 뒤에 계산이 이루어 진다. 변수 뒤에 증감연산자가 붙을 경우(a++, b--) : 계산이 먼저 이루어 지고 그 뒤에 증감이 이루어 진다. 할당연산자(대입 연산자) - 연산자 오른쪽의 실행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자 연결연산자 - 둘 이상의 문자열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연산자 - '+' 기호 사용 비교연산자 - 피연산자 2개의 값을 비교해서 true, false 로 결괏값 반환 - 문자열은 아스키코드(ASCII) 값을 기준으로 비교한다. ※ 자바스크립트에서 값을 비교할 대 ==, != 보단 ===, !==를 더 많이 사용한다... 2022. 12. 1. [자바스크립트] 자료형 자료형 :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 숫자형(number) - 정수 : 소수점 없는 숫자 - 실수 : 소수점 있는 숫자 ※ 자바스크립튼는 실수를 정밀하게 계산하지 못함 문자열(string) - 작은 따옴표(' '), 큰따옴표(" ")로 묶은 데이터 ※ 문자열 = 문자+문자 (문자와 문자열을 구분하는 다른 언어들과 달리 자바스크립트에선 문자와 문자열을 같은 string형으로 인식한다) 논리형(boolean) - 참(true), 거짓(false)의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 - 조건을 확인해서 조건이 맞으면 true, 맞지 않으면 false 출력 undefined 유형 - 자료형이 정의되지 않았을 때의 데이터 상태 - 변수 선언만 하고 값이 할당되지 않은 자료형 null유형 - 데이터 값이 유효하지 않.. 2022. 12. 1. 이전 1 2 다음